품질 기능 전개(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1. 품질기능전개(QFD)의 정의 및 역사
품질기능전개란 모든 경영단계를 통해 고객의 요구가 최종 제품과 서비스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품질경영의 방법론 중 하나이다. QFD의 기본개념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제품의 기술특성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부품특성과 공정특성, 그리고 생산에서의 구체적인 사양과 활동으로까지 변환하는 것이다. QFD의 전체적인 목적은 신제품의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상품 개발의 초기단계부터 마케팅부서, 기술부서 및 생산부서가 서로 밀접하게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품질기능전개의 역사를 보면 1960년대 후반 일본의 아카오요지(赤尾洋二)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하여, 1972년 “신제품 개발과 품질보증”의 주제로 발표된 연구에서 “품질전개시스템”이 사용된 것을 시초로 삼고 있다. 이는 미쓰비시 중공업의 고베 조선소에서 원양어선 제작에 처음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엄격한 정부의 규제조항과 고객의 요구사항을 설계과정에서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쓰비시의 기술자들이 사용했던 행렬형태의 도표가 QFD의 시초가 되었으며, 이 도표를 품질주택(HOQ : House of Quality)이라 부르기도 한다. 1970년대 중반부터 도요타와 그 부품업체들에 의해 QFD는 더욱 발전되었다. 도요타는 QFD의 사용을 통하여 1977년부터 1984년 사이에 생산 직전 단계까지의 비용을 60%가량 절감하였으며, 시장 출고까지의 기간도 3분의 1가량 단축하였고, 제품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일본에서는 1970년대 이후 가전, 집적회로, 건설장비, 합성수지, 섬유, 금속제품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에까지 QFD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1983년 Don Clausing과 Bob king이 각각 일본에 QFD 대가로부터 설명을 듣고 전파되었으며 Fuji-Xerox에서의 성공을 계기로 많은 회사들이 1980년대 중반부터 QFD를 사용해오고 있다. 현재는 Motorola, DEC, Hewlett Packard, AT&T, ITT, NASA, Kodak, Goodyear, Proctor&Gamble, NCR, Polaroid, Ford, GM 등을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QFD를 사용하고 있다.
〈품질기능전개(QFD)의 발전과정〉
연도 |
내용 |
1966년 |
아카오 요지의 QFD개념 발표 이후, 각 기업들이 공동연구를 수행함 |
1972년 |
<표준화와 품질관리>라는 잡지에 신제품 개발과 표준품질- 품질전개시스템이 소개됨. 코베 조선소에서 QFD를 채택하였음. |
1978년 |
미즈노 아까오 교수 공저인 “품질기능전개”가 간행된 후 기업에 QFD가 확산 적용됨 |
1983년 |
미국품질학회지에 소개된 후, 시카고 세미나를 통해 미국내 널리 보급됨. Don Clausing과 Bob King의 역할이 큼 |
1987년 |
QFD실시사례가 중심이 된“신제품 개발을 위한 품질전개 활동의 실제”가 간행됨 |
1990년 |
기능전개의 입문서인 신제품 개발을 위한 품질 전개 활동의 실제가 됨 |
1994년 |
일본 QFD연구회와 공동으로 LG전자 신제품개발에 처음 적용효과를 보았음 |
1995년 |
삼성전자, 삼성SDI,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자동차, 쌍방울 등 보급 확산됨 |
1996년이후 |
6시그마의 중요 기법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음 |
2. QFD의 전개
QFD는 일본에서는 종합전개라는 형태를 사용하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Dynamic QFD라는 간단한 4단계 형태를 사용한다.
(1)Dynamic QFD(4단계)
QFD는 상품기획 및 개발단계부터 부품계획단계, 공정계획단계, 생산단계까지, 즉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기까지의 전 단계를 통해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다.
(2)종합 전개
원본 : 품질기능전기 (QFD)
강아지약 해외직구 사이트 소개 : https://j840729.tistory.com/219
'레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과 건강의 관계 (0) | 2018.10.09 |
---|---|
(SEM) 주사전자현미경의 미세구조 분석 실험 (0) | 2018.10.09 |
NORDSTROM 의 기업성과 (0) | 2018.10.09 |
쓰리엠의 성공요인 (0) | 2018.10.09 |
콜버그의 정의공동체 (0) | 2018.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