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포트

자동차 내부기술

목차

 

 

1> 투씨(TWOSEE)

 

2> ABS

 

3> 에어백( Air Bag )

 

4> TCS 쎈서

 

5>ECS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

 

6> CVT

 

7> LSD (차동제한장치)

 

8> 차속 감응형오토 도어록

 

9> 썬 루프

 

10> 뒷좌석 열선 시트

 

   

 

1> 투씨(TWOSEE)

 

차량 운전자의 원활한 시계확보를 위하여 전조등의 하단부에 투명한 주황색띠를 부착함으로 야간 및 우천시 차량의 전방 근거리시야를 파장이 긴 주황색 빛으로 변환시켜주므로 야간 및 우천시 차량의 전방 근거리시야를 확보하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해소하며, 안전운행을 위한 시계확보에 도움을 주는 장치입니다.

 

(투씨 에쿠스)

  

 

 

(투씨 EF쏘나타)

 

 

 

2> ABS(Anti-lock Braking System 또는 Ani-skid Braking System)

 

자동차가 급제동을 하면 타이어의 회전은 멈추지만 자동차는 관성에 의해 곧바로 서지 않는다. 타이어가 멈춘 상태에서 마치 스키를 타듯 미끄러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타이어의 한 단면만이 마찰을 일으켜 도로에는 검은 타이어 자국이 남게 된다. 이것을 스키드마크라 하고 이런 경우를 타이어가 잠겼다고 한다. 급제동시 타이어가 잠기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첫 번째는 핸들로 차의 방향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이다. 타이어가 회전하고 있어야 핸들로 앞 타이어의 각도를 바꿔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는데 타이어가 잠긴 상태에서는 아무리 핸들을 돌려도 조종이 되지 않는다.

두 번째는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이런 경우 가장 효과적인 제동방법은 타이어가 잠기기 바로 직전까지 브레이크를 밟아 최대의 접지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를 멈추게 하는 힘은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라는 힘이다. 타이어가 정지되는 순간에는 정지마찰력이라는 힘이 작용하지만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동안은 미끄럼 마찰력이라는 힘이 작용한다. 마찰력은 정지마찰력이 미끄럼 마찰력보다 크다. 그러므로, 미끄럼 마찰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 정지마찰력이 작용하는 것보다 마찰력이 작아져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이런 원리를 이용한 것이 운전자들이 알고있는 일명 풋브레이크라는 것이다. 이것은 브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놓았다가 다시 밟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타이어의 접지력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순간 순간 정지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최대의 마찰력을 얻어낼 수 있다.

이것이 ABS의 원리이다. , 타이어가 잠기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잡았다 놓았다 하는 펌핑을 하는 것이다. 이것을 ABS1초에 10차례 이상 한다.

ABS는 바퀴마다 스피드 센서를 설치하고 여기서 들어오는 정보를 분석하여 만일 한쪽 바퀴가 잠기면 그 바퀴만 펌핑을 해줘 네바퀴의 균형을 유지해 준다.

따라서 미끄러지는 스키드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조종력을 잃지 않으며 타이어가 잠기지 않아 제동거리도 훨씬 짧아진다.

 

 

원본 : 자동차 내부 기술

 

 

 

강아지약 해외직구 펫버킷 사이트 소개 : https://j840729.tistory.com/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