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포트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

약물 전달용 나노 입자

    

목차

 

1. 약물 전달용 나노 입자의 종류

 

1.1 고분자 나노 입자 (Polymeric Nanoparticies)

1.2 지질성 나노 입자(Solid Lipid Nanoparticies, SLN)

1.3 나노좀(Nanosomes)

 

2. 난용성 약물의 생체이용률 증진

 

2.1 생체이용률의 향상

2.2 경구투여 목적의 SLN

2.3 약물전달체로의 SLN의 응용

2.4 자기미세유화 약물전달시스템(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MEDDS)

 

3. 입자형 면역 조절제

 

4. DAN 전달 나노 입자

 

4.1 전달 벡터

4.2 비바이러스 양이온성 벡터와 DNA응집

4.3 비바이러스 양이온성 벡터와 DNA 응집 메카니즘

4.4 DNA 응집체의 세포내 전달

 

5. 표적 지향형 약물 전달 나노 입자

 

5.1 표적 지향성 약물 전달 시스템

5.2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EPR)효과

5.3 표적 지향성 작용기의 도입법

 

6. 결론

 

 

 

 

 

 

 

 

1. 약물 전달용 나노 입자 종류

 

1.1 고분자 나노 입자 (Polymeric Nanoparticies)

자발적 유화욕매 확산(Spontaneous Emulsion Solvent Diffusion : SESD) 법에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유기 용매의 구성은 유화제보다 나노 입자재료인 고분자에 대한 친화도가 더 높은 용매(아세톤)와 고분자보다 유화제에 대한 친화도가 더 높은 용매(에탄올)의 혼합용매로 구성된다. 그림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 단계에서 고분자 용액을 유화 수용액 안에서 분산시킬 때 고분자 용액이 1~5 마이크론 크기의 에멀젼 방울이 계면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계면에서의 자발적인 작용은 Marangoni 효과에 의해서 설명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에탄올 용매는 고분자에 대한 친화도가 낮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에멀젼으로부터 수용액 상으로 확산되어 빠져나가게 되어 에멀젼의 1차적인 크기 감소가 일어난다. 세 번째 단계는 연속적으로 아세톤 용매가 에멀젼으로부터 수용액 상으로 확산 되고, 계면에서는 아세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제와 함께 고분자의 coacervation이 일어나고 마지막 단계로 고분자의 solidification이 일어나 구형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순간적이며 자발적으로 진행된다.

 

 

원본 : DDS(약물전달시스템)

 

 

강아지약 해외직구 사이트 : https://jmj840729.tistory.com/5

'레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쉽의 정의와 GM,GE,MS 성공사례  (0) 2018.10.09
자동차 내부기술  (0) 2018.10.09
수면과 건강의 관계  (0) 2018.10.09
(SEM) 주사전자현미경의 미세구조 분석 실험  (0) 2018.10.09
품질기능 전개의 정의  (0) 2018.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