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품위생의 방법. 식중독의 정의와 종류, 집단급식위생관리, HACCP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 식품위생
1) 식품위생의 공공성
2) 식품의 안전성
3) 위생관리의 중요성
4) 기본적인 식품 안전수칙
5) 식품안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
6) 식품안전을 위한 외식업체의 역할
2. 식중독
1) 식중독의 정의
2) 식중독의 종류
3) 바이러스 식중독
4) 식중독 원인 미생물의 종류
5) 세균과 시간관리
6) 식중독균의 전파경로
7) 식중독 응급처치 방법
8) 일반적인 식중독 예방수칙
9) 식당 및 대량 조리식품 취급자의 식중독 예방수칙
10) 식중독 관련 역사적 사건
3. 집단급식위생관리 1
1) 철저한 개인위생의 요소 (식품관리자)
2) 식품저장관리
3) 조리종사원 위생교육
4. HACCP 20P
1) HACCP 의 정의
2) HACCP 시스템에 대한 각국의 규제 동향
3)HACCP 시스템의 특징
4) HACCP 제도 도입의 이점
5) HACCP 제도와 일반적 위생관리 프로그램
6) HACCP 시스템 7단계
5. 사례
본문내용
1. 식중독의 정의
(1) 식중독이란?
① 식중독이란 병원성 미생물이나 유독. 유해한 물질로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여 일어나는 건강상의 장해를 말한다.
② 집단식중독
역학 조사결과 식품 또는 물이 질병의 원인으로 확인되거나 의심되는 경우로서 동일한 식품이나 동일한 공급원의 물을 섭취한 후 2인 이상의 사람이 유사한 질병을 경험한 사건을 말한다.
(2) 식중독 증상은?
일반적으로 고열, 복통, 설사, 구토, 두통 등이 대표적인 증상으로 때로는 호흡곤란, 탈수증상 등을 일으켜 생명을 위험하게 할 수도 있다.
(3)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계절은?
식중독은 연중 발생하지만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식중독은 더울 때 많고, 추울 때 적은 경향이 있다.
5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은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로 연간 식중독 발생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난방이 잘 되어 이러한 계절의 구분 없이 식중독이 발생되고 있어 겨울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4) 식중독 발생의 주된 원인은?
1.Haccp의 정의.
해썹´ 또는 `해십´ 이라 부르며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12월에 도입하면서 식품위생법에서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이라고 한다.
2.HACCP 시스템에 대한 각국의 규제 동향
1. CODEX
1993년 7월, 제20차 회의에서 HACCP 시스템을 식품위생의 일반원칙으로 채택하여 각국에 대하여 HACCP 개념을 근거로 한 위생규격기준을 권고하고 있다.
2. 미국
FDA는 1995년 12월에 수산식품의 가공에 HACCP의 적용을 의무화하는 규정인 「어류 및 수산 식품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가공 및 수입절차」(21 CFR Part 123)를 공포하고 이를 1997년 12월 부터 국내외 수산식품에 강제 적용토록 하였다.
표 1-4. 우리나라의 HACCP 적용경과(Status of HACCP in Korea)
참고 자료
①식품위생 사건 백서 (고려대학교 출판사)
②식품안전과 위생 관리 (대왕사)
③외식경영 위생 관리 실무 (대왕사)
④HACCP 시스템의 개념 (신광 출판사)
원본 =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5054380/
[A+평가자료] 식품위생과 HACCP 레포트
1. 식중독의 정의 (1) 식중독이란? ① 식중독이란 병원성 미생물이나 유독. 유해한 물질로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여 일어나는 건강상의 장해를 말한다. ② 집단식중독 역학 조사결과 식품 또는 물이 질병의 원인으로 확인되거나 의심되는 경우로서 동일한 식품이나 동일한 공급원의 물을 섭취한 후 2인 이상의 사람이 유사한 질병을 경험한 사건을 말한다. (2) 식중독 증상은? 일반적으로 고열, 복통, 설사, 구토, 두통 등이 대표적인 증상으로 때로는 호흡곤란, 탈
www.happycampus.com
강아지 내외부기생충약 해외직구 사이트 소개 = https://jmj840729.tistory.com/5
'레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루즈의 산업현황 (0) | 2019.05.01 |
---|---|
프랜차이즈의 정의와 특징 (0) | 2019.05.01 |
크루즈의 시장현황과 사례 (0) | 2019.05.01 |
우리나라의 관광지 경영 (0) | 2019.05.01 |
호밀밭의 파수꾼 (0) | 2019.05.01 |